실험 데이터 채널 활용 가이드


채널 등록

8. 12 오전 9:46

사용자 메뉴의 ‘내실험데이터’ 메뉴를 통하여 본인이 등록한 데이터 채널을 조회하고, 하단의 ‘새채널등록’ 버튼을 클릭하여 새로운 채널을 등록합니다.

  • 내 실험 데이터 채널 : 본인이 등록한 채널 목록 확인
  • 공유받은 실험 데이터 채널 : 단체 학습과 관계를 통하여 접근이 허용되는 채널 목록 확인
  • 구독중인 실험 데이터 채널 : 공개 채널 중 관심이 가는 채널에 대한 재방문을 위하여 모아놓은 목록 확인

VlabON 내 실험 데이터 화면, 디지털트윈 스마트팜 채널 카드와 신규 채널 등록 버튼 표시

신규 채널 등록

‘신규 채널등록’ 버튼을 클릭하여 나타나는 팝업화면에서 새로운 채널 정보를 작성합니다.

채널은 다음의 항목으로 구성됩니다.

  • 채널명: 채널을 식별할 수 있는 고유 명칭을 기록
  • 설명: 다른 사람이 채널을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 제공
  • 수치필드 (필드1~필드8) : 수치형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 항목, 8개의 필드중 사용을 원하는 항목에 체크 선택하고 필드이름과 필드 설명을 작성
  • 문자필드 (필드100~필드103) : 문자형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 항목으로 다양한 용도로 사용가능(예를들어 base64 인코딩된 이미지 문자열, 정형화 문자(json, xml 등), 비정형화 문자 등), 4개의 필드중 사용을 원하는 항목에 체크 선택하고 필드이름과 필드 설명을 작성
  • 태그: 채널을 정의할 수 있는 키워드를 기록하며 각 태그는 콤마(,)로 분리
  • 외부링크: 채널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외부 웹사이트 정보
  • 설치장소: 디바이스가 설치된 위치정보(위도, 경도, 고도)를 직접 입력하거나 지도에서 주소검색 후 위치를 선택하여 입력가능
  • 공개설정: 채널의 공개 범위(공개, 비공개, 공유)
  • 미리보기: 채널에 대한 추가 정보 전달을 위한 미리보기 이미지

'채널 등록' 팝업 화면.   상단에 '채널명' 입력 필드와 설명 입력란이 있으며, 오른쪽에는 '공개설정' 드롭다운(기본값: 비공개)과 이미지 등록 영역이 있음.   수치 필드 8개와 문자 필드 4개를 각각 사용할 수 있도록 체크박스와 이름, 설명 입력란이 배치됨.   '태그' 입력란, '외부 링크' 입력란, '설치장소' 섹션이 아래쪽에 위치.   설치장소에는 위도, 경도, 고도 입력란과 카카오 지도 지도가 표시되며, 지도 위에 위치 핀 아이콘이 있음.   화면 하단에는 파란색 '등록' 버튼이 중앙에 위치함.

디바이스로부터 수집되는 데이터를  저장할 수 있는 수치필드(8개), 문자필드 (4개) 중에서 실제 사용될 필드를 체크 선택하고, 데이터 차트에 보여질 필드이름과  설명을 작성합니다.

작성이 완료되면 '등록' 버튼을 클릭하면 다음과 같이 '내실험데이터채널'에 채널이 추가됩니다.

VlabON 내 실험 데이터 화면, 디지털트윈 스마트팜 채널 카드와 신규 채널 등록 버튼 표시

목록에서 채널을 선택하여 상세 내용을 확인하거나 채널 데이터보기 설정, API Key 관리, 데이터 관리 등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.